“인력 부족 호소하는데 채용경쟁률도 하락…수급 불균형 심화”_토목기사가 돈을 버는 방법_krvip

“인력 부족 호소하는데 채용경쟁률도 하락…수급 불균형 심화”_돈만 다운로드해주는 앱_krvip

팬데믹 이전보다 일할 사람이 부족하다는 업체의 비중은 늘어난 데다, 채용에 나선 상당수 업체가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력수급 불균형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소기업과 조선업, 비수도권에서 특히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6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 ‘기업의 인력수급 현황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업체는 2019년 12.0%에서 올해 15.3%로 늘었습니다.

또 설문에 응답한 업체의 22.2%는 2019년보다 올해 채용경쟁률이 하락했다고 답했습니다.

한국은행은 기업(노동수요)과 구직자(노동공급) 간 인력수급 불균형이 심화된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직종별로 보면 생산·현장·특수기능직 중심으로 인력수급 불균형이 심화 되었으며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 업종별로는 조선업 등 제조업과 숙박·음식점업 등 일부 서비스업에서 인력수급 불균형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산·현장·특수기능 직종에서 인력이 부족해졌다고 답한 비율은 2019년 14.0%에서 올해 18.0%로 늘어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보다는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인력수급 불균형이 심화됐습니다.

설문 대상 업체의 23.5%는 실제 채용 인원 수가 채용 정원에 미달했다고 응답했습니다.

인력이 부족해 채용을 더 하려고 해도 원하는 만큼 구인이 안 된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한은은 실제 인력수급 불균형 정도는 채용 인원수를 바탕으로 산출한 설문조사 결과보다 더 심화 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설문 결과를 보면 채용 인원 수가 채용 정원에 미달한 이유에 대해 채용경쟁률이 낮은 업체들은 지원자 부족을, 채용경쟁률이 높은 업체들은 원하는 인재상에 적합한 지원자를 찾지 못해서라고 응답했습니다.

한편 펜데믹 이전과 비교해 올해 채용 정원이 변동된 업체 가운데 채용 정원을 확대한 업체가 채용 인원을 축소한 업체보다 많아진 영향, 즉 기업 구인증가에 따라 인력수급 불균형이 심화 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한은은 지적했습니다.

설문에 응답한 기업들 가운데 생산·현장·특수 기능직의 경우 기업의 채용 정원 확대 이유로 정년퇴직자 증가(29.7%)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일반사무직과 연구 개발직의 경우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중도퇴직자가 증가한 것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인력 부족 문제가 사장 심각한 생산·현장·특수기능직의 경우 업체들은 기존 근로자의 근로시간을 늘리고(28.1%) 급여를 인상, 복지(26.1%)를 개선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비정규직 인력 채용(15.4%) 등을 통한 대응을 꼽은 응답 비율이 뒤를 이었습니다.

중소제조업체를 중심으로는 ‘외국인 채용 증가’ 응답 비율도 높게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은 직종별‧권역별 인력수급 현황과 기업의 노동수요 변동 원인, 인력수급 불균형 대응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지난달 9일부터 30일 중 전국 57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이 가운데 314개 기업이 응답했으며 응답률은 55.1%였다고 한은은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