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상기후 빅데이터, 그 가치는 얼마?_틱택토로 승리하다_krvip

국내 기상기후 빅데이터, 그 가치는 얼마?_푼타 카레타스 몬테비데오의 카지노_krvip

<사진1.  미국 국립기상청이 제공하는 일기예보 화면>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국립기상청(NWS)은 위성, 선박, 항공기, 부표 등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매일 35억개 이상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들 기관은 매년 30페타바이트(1페타바이트 = 1024테라바이트)의 신규 데이터를 관리해 정확도 높은 기상예측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생성된 정보는 미국 국방부, 항공우주국(NASA) 등 다른 정부기관을 포함한 공공 및 민간 부문에 제공돼 활용된다. 미국은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발하게 활용하는 대표적인 나라로 꼽힌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상청이 매일 1테라바이트의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그 활용도는 크게 낮은 수준이다. 오늘(14일) 한국기상산업진흥원 송근용 산업육성실장이 쓴 '기상기후 빅데이터 기반 기상산업육성' 보고서에 따르면 하루 동안 기상청에서 생산되는 기상정보는 약 1테라바이트로 집계된다. 기상기후 빅데이터인 기상정보를 활용한 산업계 매출 증대 및 비용절감 효과는 약 5조~6조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사진2. 기상정보 활용 범위와 기대효과> 하지만 기상기후 빅데이터의 거대한 가치 창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기상산업에서 만들어진 부가가치는 미흡하다. 기상산업이란 기상 관련 상품을 제조·공급하는 산업으로, 기상예보업·감정업·컨설팅·장비업 등으로 구성된다. 2013년 기상기업 매출액 92억9000만원 가운데 기상서비스업(예보·컨설팅)의 매출 규모는 8.4%에 그친다. 기상서비스업이 가장 활발히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업종인 것을 고려하면, 아직은 기상정보가 가치 창출에 적극 활용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기상기후 빅데이터 활용 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농업, 축산업, 어업 등 1차 산업을 꼽았다. 열지수, 냉해, 가뭄 등 농축산 관련 데이터 마이닝(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찾는 작업)을 통해 농작물 피해 예방, 작업관리·계획, 병충해 방제 등 정책 수립이 가능하다. 축산업의 경우 기상기후 조건 등 외부 환경과 가축의 움직임, 생산량 변화 등 사육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해 건강한 사육과 우유 생산량 증대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야외 활동이 대부분인 관광·레저 분야와 방재·안보 분야도 기상기후 빅데이터 활용이 기대되는 산업이다. 기상기후 데이터와 관광 상품 간 상관관계를 분석해 계절별로 특화된 관광 상품을 소개하고 맞춤형 관광지를 추천하는 등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공공인프라인 댐 건설, 수문 관리 등을 위해 기상기후 데이터를 통한 홍수 주기 등 분석은 필수적이며 기상기후 조건에 최적화된 군사전략 확보, 군사훈련을 위한 기상기후 데이터 활용도 가능하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기상기후 빅데이터의 활용을 늘리기 위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자원 확보, 기상기후 데이터 활용 플랫폼 지원, 기상기후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실장은 "이제 막 태동기를 벗어나 성숙기 진입을 앞둔 기상기후 빅데이터 활용은 기상산업계가 주목해야 할 핵심 이슈"라며 "빅데이터 활용 기술과 콘텐츠 개발은 협소한 기상산업을 확대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