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사 여성 등기임원 80%가 지배주주 일가_온라인으로 돈을 버는 옵션_krvip

국내 상장사 여성 등기임원 80%가 지배주주 일가_돈을 벌다 가상 화폐_krvip

국내 상장사들의 여성 등기임원 가운데 80%가 지배주주 일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수가 있는 기업집단이 그렇지 않은 기업집단에 비해 여성 임원 비율이 두 배 이상 높았다.

29일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여성 임원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694개사 중 여성 등기임원이 있는 기업은 11.2%인 78개사에 불과했다.

여성 등기임원 수는 총 85명으로, 기업당 평균 1.08명에 그쳤고 두 명이 넘는 여성 임원을 보유한 회사는 단 한곳도 없었다.

여성 등기임원 가운데 사내이사는 80.0%인 68명이었고, 이중 지배주주 일가는 54명으로 79.4%를 차지했다.

결국 여성 사내 등기임원은 대부분 지배주주 일가로, 내부 승진을 통해 이사회 구성원으로 활동 중인 여성은 매우 드물다는 이야기다.

여성 사내 등기임원 가운데 상근직은 70.6%인 48명이었다. 지배주주 일가 출신이어서 형식적인 직책인 비상근 사내이사는 비교적 적은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하는 200개 상장사 가운데 총수가 있는 181개사의 경우 평균 여성 임원 비율이 1.33%였던데 비해 그렇지 않은 19개사는 0.58%에 그쳤다.

다시 말해 총수가 있는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은 총수가 친인척 여성을 계열사 임원으로 선임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상장 계열사를 갖고 있는 49개 대규모 기업집단 가운데 79.6%인 39개 기업집단이 여성 임원을 단 1명도 보유하지 않았다.

현대자동차와 한화, 효성, 신세계, CJ, GS, 코오롱 등이 상장계열사 여성임원 비율 0%를 기록했다.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전체 등기임원 수는 4천561명으로, 여성임원 비율은 고작 1.9%였다.

세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기관인 GMI 레이팅스에 따르면 이 같은 한국의 상장사 여성 임원비율은 주요 10개국 가운데 일본(1.1%)에 이어 가장 낮은 수치다.

프랑스가 18.3%로 가장 높았고 이어 독일(14.1%), 미국(14.0%)의 순으로 높았으며, 중국도 8.4%로 한국보다 훨씬 높았다.

기업지배구조원은 구미 국가들의 경우 상장사의 여성임원 비율을 높이기 위해 법적 할당제를 추진하거나 확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유럽연합(EU)은 회원국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사회의 여성할당제 의무화를 추진 중이고, 노르웨이와 프랑스는 여성임원 할당비율을 각각 40%와 30%로 정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