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기 이륙 30여 초 만에 추락”…11년 전에도 ‘비슷한 사고’_푼타 포라 카지노_krvip

“헬기 이륙 30여 초 만에 추락”…11년 전에도 ‘비슷한 사고’_안드레아 카터 브라질 포커 플레이어_krvip

8일 새벽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남서방 370㎞ 해상에서 추락한 남해지방해양경찰청 항공대 소속 헬기(S-92).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제공
오늘(8일) 새벽,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남쪽 해상에서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S-92 헬기가 이륙한 직후 추락해, 부기장 등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다.

해경에 따르면 헬기는 이륙 후 30~40초 후 바로 추락했다. 당시 사고 해역에는 남동풍 초속 2~4m, 파고 1m 안팎으로 기상상태가 양호했고, 기장과 부기장이 모두 수천 시간의 비행 이력이 있는 '베테랑 조종사'였다는 점에서 사고 원인을 놓고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 '실종 선박·선원 수색' 지원 갔다가…이륙 직후 추락사고

앞서 해경은 전날(7일) 오전, 타이완 서쪽 33㎞ 해역에서 발생한 예인선 '교토1호' 조난 사고와 관련, 실종 선박과 한국인 선원 6명의 수색·구조를 위해 사고 해역에 해경 경비함정 3012함을 보낸 상태였다.

남해지방해경청 항공대 소속 헬기 S-92도 이날 실종된 교토 1호와 한국인 선원들의 수색·구조 활동에 동원됐다.

이 헬기는 중앙특수구조대원 6명과 헬기 운영요원 4명 등 모두 10명을 태우고, 같은 날 저녁 9시 15분 부산 김해공항을 출발했다. 이어 한 시간 뒤인 밤 10시 16분, 제주공항에 도착해 항공유를 보충한 뒤 밤 11시 9분, 제주공항을 출발했다.

이 헬기는 제주공항을 뜬지 1시간 44분 뒤인 다음날(8일) 새벽 0시 53분쯤, 마라도 남서쪽 370㎞ 해상에 있던 해경 경비함정 3012함에 착륙했다.

헬기는 구조대원 6명과 장비를 내려준 뒤 항공유를 보충하고, 다시 제주를 거쳐 부산으로 복귀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새벽 1시 32분쯤, 사고 헬기는 이륙했고 얼마 되지 않아 추락했다.

박제수 제주지방해양경찰청 경비안전과장은 이날 사고 브리핑에서 "이륙 후 30~40초 후 바로 추락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함정에서 사고 헬기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했다"고 말했다.

8일 새벽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남서쪽 해상에서 남해해경청 항공대 소속 헬기(S-92)가 추락한 가운데, 사고 실종자를 찾기 위한 야간 수색이 진행되고 있다.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제공
헬기 추락 직후, 3012함은 고속단정을 내려 추락 15분 뒤인 새벽 1시 47분쯤 기장 최 모(46) 경감을 구조했고, 이어 새벽 2시 10분쯤 부기장 정두환(50) 경위와 전탐사 황현준(27) 경장을 차례로 구조했다.

의식이 없는 채로 구조된 부기장과 전탐사는 결국 순직했고, 정비사 차 모(42) 경장은 실종 상태다.

■ "해상 기상 상황 양호…블랙박스 수거해야 원인 조사 가능"

당시 사고 해역에는 남동풍이 초속 2~4m로 불었고, 파고는 1m 안팎으로 비교적 잔잔한 상태였다. 시정거리도 약 9.3㎞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기장과 부기장이 모두 '베테랑 조종사'였다는 점에서 사고 원인에 의문이 들고 있다. 이번 사고의 유일한 생존자이자 기장인 최 모(47) 경감은 24년간 3천155시간의 비행 이력이 있고, 숨진 부기장 정 모(51) 경위도 23년간 3천238시간의 비행 이력이 있었다.

특히, 기장인 최 경감은 사고 헬기 기종인 S-92를 328시간 비행하기도 했다. 한 기종을 200시간 이상 비행하면, 해당 기종 교관 자격이 부여된다.

8일 새벽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남서쪽 해상에서 남해해경청 항공대 소속 헬기(S-92)가 추락한 가운데, 사고 실종자를 찾기 위한 야간 수색이 진행되고 있다.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제공
박정수 제주지방해양경찰청 항공단장은 이날 사고 브리핑에서 "야간 해상비행은 참조할 수 있는 불빛이 없어서, 육상 비행보다 고도의 조종술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낮은 고도에서 움직이는 함정 이·착륙은 최고의 경험과 기술이 요구되는데, 평상시에도 관련 임무와 훈련으로 경험은 충분히 있다"고 밝혔다.

정비 불량이나 기체 결함 가능성도 제기된다. 사고 기종인 S-92 헬기는 국내에 모두 5대 도입됐다.

해경은 2014년 12월, S-92를 도입해 부산과 목포에 각각 1대씩 보유 중이다. 사고가 난 헬기는 2014년 2월 신규 제작된 항공기로, 내구연한은 26년이다.

해경은 "이번 추락 사고 헬기는 최근 3년간 결함 이력 28건이 있었으나, 발생 시마다 신속히 정비하고 있고 사고 이력은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일일 점검과 비행 전 점검을 비롯해 주기별·사용시간별로 엄격히 정비관리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에 이뤄진 정기 정비(90일 점검)는 지난 12일"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해경은 현재 바닷속에 가라앉은 헬기 동체를 찾아, 블랙박스를 회수한 뒤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해경은 내일(9일) 새벽 4시쯤, 사고 해역에 3천t급 인양함이 도착하는 대로 인양 계획을 세울 방침이다.

■ 11년 전에도 제주에서 헬기 해상 추락 사고

한편 제주 해상에선 11년 전 비슷한 야간 헬기 추락 사고가 있었다.

2011년 2월 23일 저녁, 해경 제주항공대 소속 응급구조용 AW-139 헬기가 복통과 고열로 실신한 응급환자(해경)를 이송하던 중 제주시 한림읍 인근 해상에서 추락한 사고다. 이 사고로 당시 헬기에 타고 있던 5명이 전원 숨지거나 실종됐다.

AW-139 헬기는 이탈리아 아구스타 웨스랜드사에서 제작한 최신 헬기로, 도입 당시 주목을 받았다.

당시 사고 기록을 보면, 사고 헬기는 당일 저녁 8시쯤 차귀도 서쪽 40마일 해상에 정박 중인 제주해경 1502 경비함에서 응급환자를 태웠다.

20분쯤 뒤 제주공항을 향해 출발한 헬기는 잠시 뒤,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당시 제주해경이 헬기와 마지막으로 교신한 시각은 8시 19분이었다.

119가 탑승자의 휴대전화 위치를 추적한 결과, 제주시 한림읍 협재 앞 500m 해상으로 확인됐다.

기장과 부기장이 모두 육군 항공병과 출신으로 각각 2천 시간, 4천 시간 이상 비행한 베테랑 조종사라는 점에서 기상 악화로 인한 사고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사고 당시 해상은 시정이 0.5마일로, 맑고 양호한 상태였다.

해경 역시 당시 브리핑에서 사고 원인을 기상 악화와 헬기 기장의 조종 미숙 가능성으로 보는 의혹을 일축했다.

■ 조사 1년 뒤 나온 결론은 '조종사 비행 착각'

사고 1년 뒤 나온 원인은 조종사의 '비행 착각'이었다.


해양경찰청 사고조사위원회와 국토해양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사고 이듬해, 2011년 2월 제주 해상에서 발생한 해경 헬기추락 사고는 조종사들이 비행착각에 의한 일시적 고도감 상실로 추락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헬기 조종사들이 야간비행을 하면서, 하늘과 바다를 일시적으로 구별하지 못하는 착각 현상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본 것이다.

당시 이런 결론의 추정 요인으로는 조업 어선 불빛과 별빛의 착각 등으로 '조종사가 기체가 강하하고 있으나,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착각을 일으켰다'도 언급됐다.

사고 원인으로 제기됐던 엔진과 꼬리 결함 등 기체 결함은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