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미무역흑자 나홀로 30%대 급감…흑자국 순위 6→10위 추락_포커 스포츠 용품_krvip

韓 대미무역흑자 나홀로 30%대 급감…흑자국 순위 6→10위 추락_테스트 제품으로 돈을 벌다_krvi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호주의 무역을 내세우며 취임한 후 한국의 올해 상반기 대미 무역흑자가 두드러지게 감소했다.

중국, 멕시코, 일본 등 다른 주요 교역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오히려 늘어나거나 소폭 감소에 그쳤지만, 한국의 무역흑자는 30% 넘게 줄어들며 흑자액 순위도 1년 전의 6위에서 올해는 10위까지 추락했다.

3일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국 대미 상품수지 무역흑자는 112억400만 달러, 한화로 12조5천54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64억5천500만 달러)에 비해 31.9% 감소한 것이다. 이 기간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44억5천100만 달러로, 전년 동기(200억7천100만 달러)보다 21.8% 늘었다.

반면 미국으로의 수출은 지난해 상반기 365억2천600만 달러에서 올 상반기 356억5천500만 달러로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의 상반기 대미 상품수지 무역흑자 폭이 전년과 비교해 이처럼 많이 줄어든 것은 2010년 이후 7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한국의 흑자 감소는 주요 교역국 가운데서도 두드러졌다. 올해 상반기 미국과의 교역에서 무역흑자를 내는 상위 10개국 가운데 흑자 규모가 감소한 국가는 한국 이외에 인도, 독일, 말레이시아뿐이다. 그나마도 감소 폭이 인도는 9.7%, 독일 5.5%, 말레이시아 3.8%로 한국에 비하면 한참 적었다.

주요 교역국인 중국의 경우 오히려 흑자가 6.1% 늘어난 1천706억7천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멕시코는 13.3%(흑자액 362억8천700만 달러), 일본 0.9%(339억6천700만 달러), 아일랜드 19.3%(201억3천500만 달러), 베트남 14.2%(182억6천200만달러), 이탈리아 3.8%(144억1천300만 달러) 등의 증가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대미 상품무역수지 흑자국 순위도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1위를 유지한 가운데 멕시코(4→2위)가 약진했다. 제조업 강국인 일본(2→3위)과 독일(3→4위)이 한 계단씩 밀려나는데 그쳤으나 한국은 지난해 상반기 6위에서 올해는 네 계단이나 미끄러지며 10위권에 턱걸이했다. 한국의 대미무역흑자는 앞으로도 더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끔찍한 거래'라고 비난했고 지난달 22일에는 FTA 개정협상 논의를 위한 공동위원회 특별회의까지 여는 등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 정부 입맛대로 한국의 무역흑자액을 줄여나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우선 미국 정부가 주장하는 한국의 대미무역 흑자 증가가 단순히 FTA 영향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싱크탱크 브루킹스의 조슈아 멜처 수석 연구원은 FTA가 시행된 2011년부터 한국이 경기침체에 들어섰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한국은 자연스럽게 미국보다 덜 수입하게 됐다"며 "미국은 꽤 견조하게 성장했고 한국으로부터 제품을 빨아들였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핵심 수출 품목인 전자기기와 자동차도 FTA 덕에 수출이 늘어난 것으로 보기 어렵다. 데버러 엘름스 아시안 트레이드 센터 이사는 "한미 FTA는 전자기기는 건드리지 않았다"며 "전자기기는 이미 면세 품목"이라고 말했다. 또 "만약 미국이 자동차 분야 무역 적자를 겪고 있다면 이는 한미 FTA를 탓하기는 어렵다"며 "FTA 시행 시한 때문에 자동차에 별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섣불리 FTA를 개정했다가 미국 기업을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타미 오버비 미국상공회의소 아시아지역 수석 부사장은 미국 기업들이 한미 FTA로 면세 혜택을 톡톡히 보고 있다며 "협정 파기는 미국 기업에 심각한 피해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