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에게 동해를 일본해로 가르칠 순 없었다”_갈레토 카시아스 리오 그란데 카지노_krvip

“우리 아이에게 동해를 일본해로 가르칠 순 없었다”_여러 베팅을 결합_krvip

"동해 표기를 의무적으로 하도록 법률을 만든 것은 꿈이 실현된 것이었습니다." 올해 2월 미국 버지니아주의 공립학교 교과서에 '동해' 표기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미주 한인의 목소리(VoKa)' 피터 김 (한국명 김영길·55) 회장이 24일 오후 영산대학교 부산캠퍼스에서 학생들을 위해 강단에 올랐다. 그는 지난날의 험난했던 입법과정과 '비하인드 스토리'를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풀어냈다. 그는 동해 병기법 실현을 '꿈의 실현'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김 회장이 지난 2012년 2월부터 동해 병기 운동에 뛰어든 것은 초등학교 5학년 아들 때문이다.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된 엉터리 교과서를 보는 아들을 보고는 "큰일이 났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조금 관심을 두고 주위를 들러보자 참담한 현실도 눈에 들어왔다. 이맘때쯤에는 2007년부터 있었던 한인사회의 요구로 버지니아주 의회에 최초로 '동해 병기법안'이 상정되기도 했는데 일본계 주민의 로비에 가로막혀 법안 통과가 번번이 막혀 한인사회에 짙은 패배의식이 감돌 때였다. 그는 "'당장 바로잡아야 하겠다'는 생각에 소매를 걷어붙였다"면서 "백악관 청원사이트 '위 더 피플'을 통해 '미국 내 교과서 동해 표기 바로잡기' 청원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청원 소식이 알려지자 한인 사회가 또 한 번 힘을 내기 시작했다. 서명운동에 불이 붙었고, 10만 2천 명이 호응해왔다고 그는 회고했다. 김 회장은 그해 12월께 동해 병기 운동을 위한 '미주 한인의 목소리(VoKa)'라는 단체도 출범했다. 교육전문가와 출판 전문가가 합쳐진 사단법인을 만들어 제대로 대응해 보자는 생각에서였다. 지난번에 의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던 데서 교훈을 얻어 의원들을 상대로 법안상정을 위한 전략도 짰다고 설명했다. 지난번 법안을 제출하는 데 도움을 준 민주당 데이브 마스덴 의원과 함께 공화당의 리차드 블랙 의원을 공동 발의자로 끌어들어 초당적인 법안 상정의 분위기를 만들었다. 일본의 강력한 로비는 늘 걸림돌이었다고 김 회장은 고충을 털어놨다. 그는 "일본계 주민들이 버지니아의 대형 로펌을 고용해 동해 법안 무력화를 위한 종합전략을 짜고 전문 로비스트를 끌어들였다"면서 "그들은 동해 병기 법안이 통과되면 일본 기업은 철수하겠다며 맥컬리프 버지니아 주지사를 압박하는 것도 서슴지 않았다"고 말했다. 2013년 다시 상정된 동해 병기 법안은 상원과 하원의 각급 위원회를 통과할 때마다 진통을 겪었지만 "우리 아이들에게 동해를 일본해로 가르칠 수 없다"는 한인들의 뜨거운 열망이 고비를 넘기게 했다고 말했다. 마침내 올해 2월 6일 법안이 의회를 모두 통과했고 3월 31일 버지니아 주지사가 이를 승인하면서 결실을 봤다. 김 회장은 "법안 통과는 15만명 버지니아 한인사회의 승리"라면서 "미국에서 한인사회의 단결력과 정치적 파워를 보여준 성과로서도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학생들에게 강조했다. 부구욱 영산대 총장도 "재미 한인들의 목소리를 미국 정치에 반영하는 데 어떤 논리의 개발이 필요하고 한인 사회의 정치력을 어떻게 신장시킬 것인지 실감 나게 들을 수 있었다"며 설명을 보탰다. 김 회장은 최종목표를 '2017년에는 모로코에서 열리는 국제수로기구(IHO) 총회에서도 동해 병기안을 통과시키는 것'이라고 말하며 "전 세계가 동해 병기를 인정하는 그날까지 활동을 멈추지 않겠다"고 말해 학생들의 박수를 받았다. 이 특강은 외교통상부 산하의 비영리 공공법인인 재외동포재단(이사장 조규형)에서 후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