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에 특화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_카지노 전기 자전거_krvip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에 특화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_상베르나르도 두 캄푸의 빙고_krvip

국립문화재연구원이 국가기관으로는 처음으로 문화유산 연구 분야에 특화된 광여기 루미네선스(OSL)를 이용한 연대측정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밝혔습니다.

광여기 루미네선스(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연대측정은 시료가 빛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신호(루미네선스)를 이용한 연대측정을 말합니다.

이 연대측정법은 고고 시료나 유물에 포함된 광물(석영 또는 장석)에 축적된 방사선량을 통해 대상물질이 햇빛이나 열에 마지막으로 노출된 이후 경과한 시간을 밝힘으로써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토기, 기와, 석재 등 무기질 문화유산의 제작연대나 축조 시기를 밝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고고학, 지질학 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원은 그동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이 장비를 이미 보유한 기관과 공동연구를 통해 토기의 소성 온도와 루미네선스 신호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등 연구 성과를 거뒀지만, 문화유산 분야에서도 이 장비를 이용한 연구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이번에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에 도입한 장비는 시료를 빛에 노출시켜 연대를 측정하는 광여기 루미네선스(OSL)와 시료를 가열해 연대를 측정하는 열 루미네선스(TL) 연대측정이 모두 가능합니다.

석영과 장석이 포함된 문화유산의 연대측정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루미네선스 신호를 이용한 연대측정 결과를 교차 검증할 수 있어 연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연구원은 밝혔습니다.

또한, 문화유산이 출토된 토양에 대한 연대측정도 가능해, 토양이 퇴적돼 빛으로부터 차단된 시점이 언제인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물이 대략 어느 시점부터 땅속에 묻혀 사용되지 않았는지, 마지막으로 사용된 시기가 언제인지 등을 추정할 수 있어 더욱 폭넓은 연구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연구원은 기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