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처리 지연 배경 집중추궁(오후-1) _인생은 포커와 같다_krvip

기아처리 지연 배경 집중추궁(오후-1) _의과대학에서 돈을 벌다_krvip

국회 IMF 환란조사 특위는 오늘 강경식 전 경제부총리와 윤증현 전 재경원 금융정책실장, 김재태 청운회계 법인 이사 등 증인 5명과 주병국 전 종금사 협회장을 참고인으로 불러 기아사태에 대한 사흘째 신문을 벌이고 있습니다. 특위 위원들은 오늘 신문에서 기아 부도유예 협약 체결 과정에서 정치권의 외압이 있었는지 여부와 삼성그룹의 승용차 진출 과정에서 강경식 전 부총리의 역할,그리고 이른바 삼성음모론의 실체 등에 대해 집중 추궁했습니다. 특위 위원들은 강 전 부총리가 삼성차 진출에 앞장선 것은 부산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라기보다 삼성을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하면서 기아사태의 장기화로 대외신인도가 하락하고 환란을 부채질한 것도 강 전 부총리의 이중플레이와 삼성음모론 때문이었다고 추궁했습니다. 또 97년 7월 15일 기아에 부도유예 협약을 적용하고서도 곧바로 법정관리로 가지 못하고 백여일 동안이나 지연시켜 대외신뢰도를 떨어뜨린 이유는 무엇인지를 따졌습니다. 특위 위원들은 이와함께 기아 사태가 환란을 부채질한 배경에는 국민을 볼모로 대마불사의 망령에 사로잡힌 재벌 총수의 오만과 국가경제를 대상으로 섣부른 시장주의를 실험한 경제정책 책임자의 독선이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라고 추궁했습니다. 이에 대해 강경식 전부총리는 부도유예 협약은 자신이 지시해 재경원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은행권이 자율적으로 체택한 것이라며 정치권의 외압설을 부인했습니다. 강 전 부총리는 또 자신은 지리적 이점을 들어 삼성의 부산 유치를 제안했을 뿐이고, 삼성의 자동차 사업 인.허가 문제는 정부가 개입할 성질의 것이 아니며 전적으로 기업 스스로가 결정할 문제라고 주장했습니다. 강 전 부총리는 기아사태 처리가 늦어진 것은 삼성음모론이 아니라 정치권의 개입이 큰 원인이었다고 말하고 당시 노조와 경영진은 물론 언론과 시민단체에서도 기아처리 문제를 놓고 경제논리가 아닌 정치논리로 접근해 제각각의 방법론을 제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