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美-中 관계 개선에 우려 팽배” _포커 통계_krvip

“인도, 美-中 관계 개선에 우려 팽배” _실비오 산토스 빙고_krvip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주 중국 공식 방문을 마치면서 발표한 미.중 공동성명에는 "남아시아의 평화 안정과 발전을 위해 양국이 공동 노력한다"는 문구가 들어가 있다. 어찌보면 의례적이고 외교적 표현에 불과한 것처럼 보이는 이 문구를 놓고 전통적인 미국의 동맹국이자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인도의 촉각이 곤두서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4일 보도했다. 오바마 행정부 들어 미국의 남아시아 정책이 `중국 중시, 인도 홀대'쪽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당혹감이 정파를 뛰어 넘어 인도 정국에 팽배하다는 것이다. 신문의 보도는 오바마 대통령이 만모한 싱 인도 총리와 백악관에서 첫 정상회의를 열고 오랫동안 이어져 온 양국 우호관계를 재확인한 날 나왔다. 뉴델리의 정치분석가인 프렘 샨카르 자는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어떻게 중국이 남아시아의 평화를 책임질 수 있느냐"며 인도의 숙명적 라이벌인 파키스탄과 중국의 밀접한 관계를 언급하면서 "중국은 이 곳에서 파괴적 역할 이외에 아무 것도 한 것이 없다"고 말했다. 랄리트 만싱 전 주미대사도 "오바마의 외교 셈법은 조지 부시 행정부 때와는 확연히 다르다"며 "그가 중국을 무서워 하거나 지나치게 의존적인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NYT는 인도인들이 오바마 행정부 들어 미.중간 관계 개선을 지구촌 강대국으로 부상하려는 인도에게 위협이 된다고 느끼고 있으며 미국이 인도를 아프간이나 파키스탄 정도의 지역적 역할로 격하시키려 한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고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달 워싱턴에서 달라이 라마의 면담을 거부한 것 역시 중국을 자극하지 않겠다는 명백한 증거로 인도인들은 받아들이고 있다. 인도의 핵무기 프로그램을 교묘하게 합법화 시킨 핵기술 관련 협정까지 체결하면서 민주주의 국가인 인도가 전제주의 국가인 중국의 부상에 맞서도록 했던 부시 행정부의 전략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아프간 전쟁이라는 진흙탕에서 헤어 나오고 싶어하는 오바마 행정부로서는 아프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파키스탄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고, 경제적으로도 8천억달러의 부채를 지고 있는 중국에 실용적 접근을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서 `인도 홀대' 정책을 펴고 있다는 것이 인도 여론주도층의 생각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만싱 전 대사는 "일본 천왕에 대한 오바마의 허리 굽힘이 예의의 표시였다면 중국에 대한 과거와는 전혀 딴판의 행동은 유화정책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