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들 불신·오해…“훈련된 정보 전문가 절실”_당신이 파는 것으로 돈을 벌다_krvip

가족들 불신·오해…“훈련된 정보 전문가 절실”_베토 카레로 아버지의 날_krvip

"구조대원들이 세월호 선체 진입에 성공했습니다"

사고 사흘째인 지난 18일 이뤄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발표. 불과 4시간만에 해양경찰청은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혔고, 김석진 안전행정부 대변인은 "혼선이 있었던 점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사고 이후 정부는 부정확한 정보를 잇따라 발표하며 실종자 가족들을 두 번, 세 번 울렸다. 인명이 걸려있는 대형재난 상황일수록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전달이 핵심이라는 사실은 잊혀진 듯 했다.

정보 전달의 우선 순위도 문제다.
온갖 소문과 추측이 난무하는 대형사고에서 정보 창구의 단일화는 특히 중요하다. 뭘 숨기겠다는 것이 아니라, 신뢰할 수 있고 정리된 정보를 제공해 혼란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 '세월호' 참사에서는 이런 역할 분담이 분명치 않고 혼재되다 보니 저마다 실종자 가족을 만나고 언론을 접촉하는 등 큰 혼란을 빚었다. 결국 모든 역량이 집중돼야 할 구조수색팀마저 흔들리고 가장 먼저 사고 관련 정보를 받아야 할 실종자 가족들은 오히려 소외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의 경우 이같은 재난상황에서 정보 전달은 철저하게 '피해자 가족 중심'이라는 원칙을 따르고 있다.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의 '가족지원계획' 매뉴얼을 보면 ▶재난 시 (가족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 ▶무료 전화를 개통해 피해자 가족들의 질문에 즉시 응대 ▶현장에 오지 못한 가족에겐 매일 연락 등의 내용이 명시돼있다.

철저하게 피해자 가족 중심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원칙인 셈이다. 당연히 사고관련 정보는 가족에게 가장 먼저 전달하고, 언론브리핑은 그 다음이다. 방송을 보고 수색구조 소식을 아는 우리네와는 대조적이다. 피해자의 아픔을 잘 보듬는 것이 사후수습의 관건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재난상황에서 관련 정부 부처의 대변인에게는 실무 최고 책임자이면서 동시에 피해자들에게 감성적인 접근까지 할 수 있는 전문가의 역할도 요구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종혁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교수는 "실시간으로 끊임없이 피해자와 가족들, 정부라고 하는 조직 사이에 간극을 조정하는 역할, 그 중재를 잘 할 수있는 전문가가 있어야 불필요한 상처와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번 '세월호' 참사로 정부의 소통 능력이 도마 위에 오르면서 훈련된 정보 전문가와 시스템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