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백신 우리는 왜 못 만드나?_돈 버는 로켓_krvip

구제역 백신 우리는 왜 못 만드나?_브라질에 내기_krvip

[연관 기사] ☞ [뉴스9] 왜 구제역에 취약한가?…돼지로 확산 땐 대혼란 조류인플루엔자(AI)에 이은 구제역 파동이 전국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벌써부터 연례행사처럼 되풀이 되는 구제역 사태의 책임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지난 2000년 우리나라에 처음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8차례나 구제역이 발생했지만 그때마다 병에 걸린 소를 땅 속에 묻고 외국에서 수입한 백신 접종에만 매달리다 보니 우리 실정에 맞는 근본 대책은 엄두도 못냈다. 백신만 믿었다 뚫린 구제역…근본 대책 못 만드나? 더우기 전체 7가지 구제역 유형 가운데 우리나라에선 그동안 'O'형 구제역이 주로 발생해 정부는 'O'형 바이러스 위주로 백신 정책을 세웠다. 구제역 백신 역시 'O'형만 예방할 수 있는 물량이 훨씬 많이 준비돼 있는 상황에서 9일 경기 연천 농장의 젖소에서 확인된 바이러스가 'A형'으로 밝혀져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린 것은 당연하다. [연관기사] ☞ O형·A형 동시 발생…백신 부족, 방역 혼란 'A'형과 'O'형 바이러스가 동시 검출되자 화들짝 놀란 정부가 구제역 위기 단계를 최고 단계인 '심각' 단계로 격상했지만 이미 바이러스가 겉잡을 수 없이 광범위하게 퍼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접종 미흡” VS “백신 문제” 서로 책임 미뤄 이런 가운데 정부는 농가에서 백신 접종을 기피해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농가는 백신이 제대로 항체를 형성하지 못하는 '물백신'이라며 서로 책임을 미루는 형국이다. 여기서 궁금해지는 게 있다. 그동안 농가에서 써온 구제역 백신은 어디에서 수입해온 것이고 과연 우리나라에서는 이 같은 백신을 만들 능력이 없는 것인가? 또 백신을 접종만 하면 구제역에서 안전한 것인가? 정부는 2011년부터 백신정책을 통해 모든 소와 돼지에 예방백신을 접종하도록 의무화 했다.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농가에 대해서는 정부 보조금 지원 중단과 구제역 보상에서 제외한다. 英 백신 회사에 제조 의뢰 전량 수입해 공급 정부는 2010년 최악의 구제역을 겪으면서 이듬해인 2011년부터 백신 정책을 통해 모든 소와 돼지에 백신을 접종하도록 했다. 소의 경우 생후 2개월 1차 접종을 하고 다시 1개월 뒤에 2차 접종을 실시한다. 이후 6개월 단위로 주기적인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 돼지는 생후 1차 접종을 실시하고 이후 2차 접종을 실시해야 한다. 현재 공급되고 있는 백신은 국내 백신회사가 영국의 메리알 회사에게 제조를 의뢰해 벌크 형태로 수입, 소분(小分;작게 나누는 것)해서 행정기관과 축협을 통해 농가에 공급하고 있다. 구제역 확산으로 가축 이동제한이 내려진 가운데 전남 강진군청 축산과 냉장고에 구제역백신이 보관돼 있다. 이 백신은 국내 백신회사가 영국의 백신제조 회사에 제조를 의뢰해 전량 수입하고 있다. 백신 접종해도 구제역 발병…‘물백신’ 논란 가중 한마디로 구제역 예방백신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인데 문제는 이 백신을 접종하고도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관기사] ☞ 항체형성률 100% 돼지도 구제역…‘백신 무용론’ 2015년 1월 구제역 파동이 일어났을 때 항체 형성률이 100%인 돼지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당시에는 백신을 만드는 데 사용한 외국 균주가 국내에서 번지고 있는 바이러스의 유형과 달라 이 같은 현상이 발생했다는 분석이 나왔고, 결국 정부는 그해 다음달 새로운 백신을 들여오기로 결정한다. [연관기사] ☞ ‘구제역 막을 수 있다더니…’ 새 백신 도입키로 하지만 새롭게 들여온 백신도 효능검증을 제대로 하지 않은 이른바 '물백신'으로 드러나 농민들의 반발을 샀고, 영국에 있는 백신제조 회사 스스로가 효능에 대한 불확실성을 언급하며 논란을 가중시킨 바 있다. [연관기사] ☞ [단독] 구제역 백신 시험 주먹구구…‘물 백신’ 공급 의혹 그런데도 농림부는 수년째 영국에서 수입하는 예방백신에만 의존하고 있고 일부에서 주장하는 수입시장 다변화나 자체 백신 개발은 아예 생각하지도 않고 있다. 16년 간 3조3천억원 쏟아붓고도 못 잡은 구제역 집계가 시작된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구제역 발병 기간은 총 484일로 살처분된 사육두수가 390만 마리에 이른다. 앞서 발생한 8차례의 구제역으로 인해 살처분 매물비용과 보상금 등으로 지급된 예산은 무려 3조 3,000억원에 달한다. 이처럼 우리 환경에 토착화된 구제역 바이러스라면 우리 실정에 맞게 맞춤형 백신을 스스로 개발하거나 우리와 사육 환경이 비슷한 러시아나 아르헨티나에서 백신을 수입하는 방안도 있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개선될 기미가 없다. 충남대 수의학과 서상희 교수는 이와 관련해 9일 한 라디오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구제역 대란은 농림부 공무원들이 책임을 져야한다"면서 정부 관계자들의 무능과 무책임을 비난했다. “공무원 책임 커…맞춤형 백신 개발이 정답” 서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맞춤형 백신 개발이 가능한데도 장기 계약한 영국산 백신에 끌려다니기만 하고 있다" 면서 "이런 상태라면 앞으로 수십년간 국내 백신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교수는 "이미 토착화한 구제역 예방에는 맞춤형 백신 개발만이 답"이라면서 "감사를 통해 농림부와 영국 백신 제조사의 독점계약 여부를 반드시 밝혀내야"한다고 의미심장한 발언을 했다. 농가에서는 영국에서 제조,수입하는 백신의 효능에 문제를 제기하는 반면에 정부는 농가에서 비용 부담이나 부작용 등을 이유로 의도적으로 백신접종을 기피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각종 부작용 우려 백신 접종 기피” 하지만 이 같은 시각에 정부는 구제역이 발생하는 이유를 농가에서 제대로 백신접종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백신 접종을 하게되면 젖소의 원유 생산량이 줄어들거나 송아지 유산 우려 때문에 농가에서 백신접종을 꺼리고 있다는 판단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는 실제로 농가의 백신 구매기록을 확인해봐도 1회 접종하는 백신은 구매하지만 2~3회 접종하는 백신을 구매하는 농가는 많지 않다고 보고 있다. 즉, 제대로 백신을 접종만 한다면 구제역을 예방할 수 있는데도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해 이를 기피하는 것이 큰 원인이라는 시각이다.  전염성이 강한 구제역 예방을 위한 차단방역이 허술하고 축산농가에 백신접종을 맡긴 후 사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는 방역시스템이 구제역 파동을 되풀이한다는 지적이 많다. “농가 1곳에 소 1마리, 엉터리 항체율 표본검사” 정부와 농가의 시각이 전혀 다른 가운데 비교적 중립적인 학계에서는 정부의 허술한 방역체계와 안일한 검역행정이 낳은 참사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 국제수역사무국(OIE) 기준에 따랐다고 하지만 전체 사육두수와 관계 없이 농가 1곳당 소 1마리만을 표본 검사해 항체 형성률을 따지는 허술한 관리가 화를 키웠다는 얘기다. OIE는 구제역 백신접종 청정국 인증 획득을 위한 조건으로 백신접종군에서 80% 이상의 방어면역력(항체 형성률)을 유지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소 농장 가운데 10%를 모집단으로 설정, 80%의 백신항체율이 형성돼 있는지를 검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런 표본 검사 방식으로 하다보니 국내에서 사육되는 전체 소가 314만 마리인데, 이의 0.3% 정도만 검사하고 전국 평균 소 항체율이 95.6%라고 자랑하지만 정작 구제역에 속수무책 노출되는 '숫자놀음'이 벌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백신 의존 지나치게 높아…차단 방역 허술” 백신을 접종하면 구제역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면서 전적으로 축산 농가에 백신 접종을 맡기고, 사후 관리도 제대로 하지 않은 것도 문제다. 축산농민들은 심지어 당국이 제대로 된 접종법 교육조차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접종법도 모른 채 백신을 놓은 농가도 적지 않다는 게 축산단체 주장이다. 이제라도 부작용이 작은 맞춤형 국산 백신을 서둘러 개발하고 백신 개발 전까지라도 수입시장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게 농업단체의 목소리다. 농장별로 한 마리를 대상으로 이뤄지는 백신항체 검사방법을 개선하고 부족한 공수의사(공무원 수의사) 대신 민간 수의사를 ‘농장주치의’로 적극 활용하는 등 보다 근본적인 처방 없이 구제역 예방은 요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