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여파, 최대 76만가구 금융자산 등 팔아도 1년 못버텨”_애쉬 포커_krvip

“코로나 여파, 최대 76만가구 금융자산 등 팔아도 1년 못버텨”_포키 읽고 쓰는 능력_krvip

코로나19 여파로 근로자의 실업과 자영업자의 매출 감소가 이어지면 최대 76만 가구가 1년 내 유동성 한계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이 24일 공개한 '2020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19에 따른 실업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기간이 1년 미만인 임금근로자 가구는 모두 45만8천 가구로 추산됐습니다.

해당 가구가 실업률 상승 폭이 과거 외환위기 수준(상용직 3.7%포인트·임시일용직 12.3%포인트)에 이를 경우 한 가계에서 보유한 금융자산 등을 처분해도 1년을 버티지 못하고 유동성 부족에 이른다는 뜻입니다.

더 상황이 좋지 않아 유동성 한계까지 남은 시간이 6개월보다 짧은 임금근로가구는 28만9천 가구로 추정됐습니다.

자영업자 30만1천 가구는 '매출 감소 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 기간이 1년 미만으로 추산됐습니다.

한은은 업종별 사업소득이 코로나19 확산 직후의 신용카드 매출액 변동률(전년 동기 대비)만큼 감소하는 경우로 '매출 감소 충격'을 정의했습니다.

당시 업종별 신용카드 매출액 감소율은 ▲ 도소매(-6.2%) ▲ 운수(-8.4%) ▲ 숙박 음식(-36.2%) ▲ 부동산(-23.9% ▲ 교육서비스(-14.4% ▲ 보건·복지(-12.7%) ▲ 여가서비스(-37.2%) ▲ 기타서비스(-8.4%) 였습니다.

자영업자 중 18만4천 가구는 이 정도 매출 감소가 나타나면, 6개월 안에 유동성 부족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결국 한은의 분석대로라면, 75만9천 가구(임금근로자 45만8천+자영업 28만9천)가 1년, 47만3천 가구(28만9천+18만4천)가 6개월 안에 유동성 한계에 다다른다는 뜻입니다.

매출 감소 충격이 발생하면 6개월 미만을 견딜 수 있는 가구의 금융 부채는 총 37조 원, 1년 미만은 59조1천억 원의 부채가 생길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고용 여건이 외환위기 수준으로 나빠지면 임금근로가구의 채무상환 능력이 떨어져 대출 부실이 많이 증가할 것"이라며 "특히 금융자산이 적은 임시일용직 가구는 상용직 가구보다 단기간 내 부실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습니다.

한은은 "자영업 가구의 잠재부실 규모도 매출 충격이 장기화하면 숙박음식업 등을 중심으로 커질 것"이라며 "종합적 고용안정 대책을 추진하고 자영업 업황 변화에 따라 금융지원 정책의 연장·확대 등으로 영세 자영업 가구의 부실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